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정보 관리의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본인의 정보를 관리하고,
본인의 의지에 따라 개인 데이터에 대한 열람, 제공 범위, 접근 승인 등을 직접 결정함으로써 개인의 정보 활용 권한을 보장,
데이터 주권을 확립하는 패러다임입니다. (출처-한국 데이터 산업진흥원)
정보의 주체인 자신이 행정/공공기관 등이 보유한 본인의 정보를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로 판독이 가능한 형태로 받아
본인이 직접 다양한 공공/민간 서비스 수혜를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데이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가치창출에 기여하게 됩니다.
[KISDI 영상보고서] 마이데이터, 개인이 데이터 유통을 주도한다?! (출처-정보통신정책연구원 유튜브)
“내 데이터는 나를 위해 쓴다” 마이데이터 도입, 뭐가 좋아질까요? (출처-금융위원회 유튜브)
업종 | 정보활용 | 주요 제공 서비스 |
---|---|---|
은행 | 계좌거래 내역, 대출 잔액, 금리/이자 등의 다양한 금융자산 현황 등 분석 |
저축, 재테크 안내 등을 통한 자산형성 지원 |
카드 | 카드 사용일시, 결제내역, 카드대출이용 등의 소비패턴 분석 |
다양한 카드 사용혜택 제공 및 합리적인 소비 습관 개선 지원 |
금융투자 | 투자종목, 주자금액, 자산규모 등의 투자정보를 통해 투자패턴 분석 |
세제 혜택, 투자습관 개선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 제공 |
보험 | 보험료 납입내역, 보험기간, 보장내역 등의 보험정보를 통해 노후예측 및 건강 분석 |
연금관리를 통한 노후설계와 저비용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